본문 바로가기
IT·컴퓨터

[C++] for 반복문에서의 auto 구문

by 기부전사 2024. 3. 22.

1. 등장 배경

 

auto 키워드는 C++11 이후부터 사용 가능한 문법입니다. 이전 버전의 C++에서는 auto를 다른 의미로 사용했으며, C++11 이후부터는 초기화 식에서 형식이 추론되는 변수를 선언하는 데에 사용됩니다

예를 들어, 아래 코드에서 auto a는 초기화 값인 true를 기반으로 자료형을 추론합니다:

#include <iostream>
int main() {
    auto a = true; // a의 자료형은 bool로 추론됨
    // ...
    return 0;
}

C++11 이후부터 auto를 활용하여 코드를 더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 이를 통해 초기화 값에 따라 자료형을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. 



2. For 반복문에서의 auto 키워드 활용 방법

  C++에서 for 반복문을 사용할 때 auto 키워드를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. auto는 타입 추론을 통해 변수의 자료형을 자동으로 결정하는 기능입니다. 이를 활용하여 범위 기반 for 반복문을 간결하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.
아래는 auto를 사용한 for 반복문의 예시 코드입니다:
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vector>

int main() {
    std::vector<int> numbers = {1, 2, 3, 4, 5};

    // 범위 기반 for 반복문에서 auto 사용
    for (auto num : numbers) {
        std::cout << num << " "; // 각 요소 출력
    }
    std::cout << std::endl;

    return 0;
}

 

위 코드에서 auto num은 벡터 numbers의 각 요소를 순회하면서 자동으로 해당 요소의 타입을 추론합니다. 이렇게 하면 반복문을 더 간결하게 작성할 수 있습니다. auto를 사용할 때 주의할 점은 변수의 타입이 배열의 요소와 일치해야 한다는 것입니다.

std::vector<int> numbers = {1, 2, 3, 4, 5};

// 범위 기반 for 반복문에서 요소 수정
for (auto& num : numbers) {
    num *= 2; // 각 요소를 2배로 변경
}

// 수정된 요소 출력
for (auto num : numbers) {
    std::cout << num << " ";
}
std::cout << std::endl;

 

이렇게 auto를 활용하면 코드를 더 간결하게 작성하고 유지보수하기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. 

반응형